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기생충>이 아카데미 4관왕을 수상한 이유

by trip1950 2025. 3. 31.

영화 '기생충' 포스터
영화 '기생충' 포스터

 

안녕하세요 오늘 저는 봉준호 감독님의 <기생충>을 보고 난 저의 생각과 기생충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처음 기생충을 보기 전에는 갑자기 우리나라 감독이 만든 영화가 세계적으로 엄청난 평가를 받게 되어서 정말 의아했고 놀랍다고 생각했습니다. 또 한편으로는 "얼마나 대단하길래 이렇게 다들 칭찬하는 거지?" 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영화를 보고 난 후에 제 느낀 점은 사회를 풍자하는데 정말 뛰어난 감독이다라고 생각했습니다. 봉준호 감독님 특유의 긴장감 넘치는 전개와 예상치 못한 반전 그리고 배우분들의 뛰어난 연기력까지 모든 요소가 완벽했습니다. 우리 사회의 개층 간의 불평등과 빈부격차의 불편한 진실 등을 흥미로운 스토리로 담아내면서 재미와 영화를 보고 난 후 관객에게 불편한 찝찝함과 같은 여운을 남기는 영화였습니다. 오늘은 기생충 영화가 뛰어나다고 생각했던 요소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부자와 거지를 나누는 사회적 높이

영화에서 가장 눈에 뛰는 장면은 공간의 차이입니다. 기택 가족이 사는 '반지하'라는 공간과 박 사장 가족이 사는 '대적택'이 대조되어서 두 주거 공간이 공간의 차이를 넘어서 두 계층이 사는 '세계'자체가 다름을 표현하였습니다.

반지하

반지하는 말 그대로 지하도 지상도 아닌 애매한 공간 입니다. 창문이 있지만 바깥세상을 온전히 볼 수 없고, 지상에서 벌어지는 일들은 기택 가족과는 동떨어진 것으로 느껴지게 만듭니다. 기택가족이 와이파이를 잡기 위해 변기 위로 올라가는 모습에서는 집에서 가장 높은 곳을 변기가 있는 더러운 화장실로 묘사하여서 더욱 저소득층의 불편함을 잘 묘사하였다고 생각합니다. 

대저택

반면, 박 사장네 가족이 사는 대저택은 위치적으로도 반지하 집보다 한참 높은 언덕에 위치하고 있으며. 넓은 정원과 깨끗한 내부가 반지하와 대비됩니다. 대문으로 차단되어 있어 외부와 완전히 분리된 공간으로 나오지만 이는 반지하의 외부와 단절된 분위기 와는 사뭇 다릅니다. 또한 기우가 과외를 위해 대저택까지 올라가는 길을 한 없이 길고 대문을 여러 개 통과해야 겨우 도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표현하여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의 한없는 차이와 아무리 노력해도 닿을 수 없는 거리를 나타냅니다. 

 

또 박 사장네 가족이 여행 간 틈을 타 대 저택 좋은 시간을 보내고 있던 기택이네 가족이 다시 대저택을 탈출할 때 비를 쫄딱 맞으며  큰 계단을 타고 한 없이 내려가는 장면에서 또한 계층간의 차이를 묘사하였고 결국 도망을 나왔지만 홍수 때문에 반지하가 물에 잠겨서 똥물을 다 뒤집어쓰고 체 욱 관에서 잠을 자는 모습에서도 높이에 따른 사회적 위치와 한 없는 나락을 보여 줍니다.

 

2. 냄새로 구분되는 보이지 않는 벽

극중에 기택이 박 사장의 차를 대신 운전하는 상황에서  박사장이 기택에게 냄새가 난다고 말합니다. 이는 반지하의 양말냄새 반지하의 쿰쿰한 냄새, 지하철의 냄새 등 이 주인공 기택에게서 나는 것이었습니다. 박 사장은 이를 다른 기택의 가족들에게도 난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박사장의 아들 다송이도 제시카선생님과 기우에게서 같은 냄새가 난다고 한 장면에서 가난한 사람들에게서 나는 냄새에 대한 상류층의 혐오감을 나타냅니다. 후각은 동물적인 감각으로 공기 속에 숨어있는 위협을 감지하는 예민한 감각으로 후각은 감정적이고 비밀스러운 감각으로, 시각에 비해 훨씬 깊숙하게 마음을 흔듭니다. 냄새로 차별받는 기택의 자존감은 송두리째 뽑히게 되고 결국 마지막 장면에서 박사장을 살해하는 계기가 됩니다. 

 

3. 결국 죽고 죽이는 건 하류층

기택이네 가족이 대저택의 지하에서 전 가정부와 그의 남편이 살고 있는 것을 보았을때 자기들이 뺏은 가정부란 위치이지만 갑의 입장에서 신고를 하려고 하는 장면과 그다음 장면에서 기택의 가족이 전부 위장취업을 알게 되었을 때는 역으로 일러바치겠다고 싸우는 장면에서 결국 한정된 밥그릇을 놓고 싸우는 것은 하류층이라는 것을 표현했습니다. 또 그 과정에서 전 가정부를 살해하고도 대수롭지 않게 넘기는 장면에서 인간의 잔인함과 폭력성 등이 드러납니다.

 

마치며

아마 영화를 보고 난 후에 한동안 멍해지고, 불쾨한 느낌이 머릿속에서 지워지지 않았던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이처럼 이 영화는 단순한 스릴러 영화가 아니라 사회문제를 정면으로 마주하게 만들어서 관객들에게 빈부 격차란 과연 무엇인지 나는 이 사회에서 어느 계층에 속해 있으며, 어떤 시각으로 다른 이들을 바라보고 있는지 질문하고 생각해 볼 수 있게 만든 영화란 생각이 듭니다. 요즘 한국의 모습을 보면 아파트 브랜드와 부동산 가격으로 급을 매기고, 자신이 무슨 차를 타는지 등 지나치게 남과 비교하고 남보다 우월한 그룹에 속하고 싶어 하는 것 같습니다. 기생충은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을 한국의 현실을 그대로 비추는 거울 같은 작품이라고 느껴집니다.